android폰 앱 광고 제거 with ADGUARD
ADGUARD앱 실행 > 필터링 로그에서 앱들의 트래픽 확인
먼저 ADGUARD앱을 통해 dns로 가는 패킷을 확인하기 위해서 필터링 로그 메뉴에서 현재 로그 기록을 전부 지워줍니다.
그리고 광고차단을 하려는 앱을 실행하고 다시 ADGUARD의 필터링 로그에서 광고 서버로 가는 패킷을 확인합니다. 패킷 중에 ad 등 광고를 가져오는 것으로 의심(?!)되는 트래픽을 확인합니다.
아래 예는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광고 호스트로 접속하기 위해 발생하는 dns 패킷을 확인한 장면입니다. dns://display.ad.daum.net로 시작하는 패킷이 DNS로 보낸 요청입니다.
위 이미지에서 차단하고자 하는 트래픽을 클릭해서 차단 추가
- 앱분석/마케팅/트래킹 솔루션 관련
- ||e.crashlytics.com^
- ||click.tiara.daum.net^
- ||stat.tiara.daum.net^
- ||app.launchdarkly.com^
- ||app-measurement.com^
- ||csi.gstatic.com^
- ||mimgnews.pstatic.net^
- ||ad.shallweadcorp.com:10700^
- ||api-ao.adison.co^
- ||ace.naver.com^
- ||decide.mixpanel.com^
- ||staticxx.facebook.com^
- ||settings.crashlytics.com^
- 카카오톡
- ||display.ad.daum.net^
- 네이버웹툰
- ||naverwebtoon-phinf.pstatic.net^
- ||cc.naver.com^$app=com.nhn.android.webtoon
ADGUARD를 사용하면 웹서핑할 때 브라우저에 보이는 광고나 개인정보 트래킹 뿐만 아니라 앱에 표시되는 광고도 차단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ADGUARD의 광고차단 리스트를 구독하고 인터넷의 여러 리스트를 구독하는 것으로 많은 광고/트래킹 차단이 가능한데 그래도 사라지지 않는 앱의 광고는 아래 방법으로 대부분 차단이 가능합니다. 아래 내용은 ADGUARD의 사용자 필터를 추가하는 초보적인 방법이며, 고급 기능은 무궁무진한 점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차단룰 공유
광고 차단은 List-KR, YousList 를 구독하면 왠만한 광고들은 거의 차단이 되고 아래는 제가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차단 룰인데 사용하실 분은 복사하셔서 사용하셔도 됩니다.
참고로 저는 https와 dns차단까지 적용했습니다. https차단을 키지 않으면 앱내의 광고와 트래킹은 차단이 많이 되지 않습니다. dns차단을 적용하면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트래픽까지 차단하기 때문에 데이터절약에 쪼~금 더 효과적입니다.
DNS차단을 적용하실 때 DNS 서버는 변경하지 마시고 시스템 기본 설정으로 두시는 걸 추천합니다차단에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캐시된 광고 이미지가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설정 > 앱 > 저장공간에서 임시파일 삭제까지 해주시면 좋습니다. 아래 룰을 설정 > 콘텐츠 차단 > 사용자 필터 에 한줄씩 추가해 주세요.